본문 바로가기

박성애 (Park, Seongae) 논문수  · 이용수 2,226 · 피인용수 6

소속기관
서울시립대학교
소속부서
의사소통교실
주요 연구분야
인문학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TOP 10%
연구경력
-
  • 저자정보 . 논문
  • 공저자 . 저널

저자의 연구 키워드

저자의 연구 키워드
#“Again, Spring, Spring”
#“Spring, Spring”
#『바보 온달』
#1950년대 아동문학
#1950s children’s literature
#가족담론
#갈등
#강박적 윤리의식
#거리 두기
#경계
#경계적 사유
#공간
#공동세계
#공진하
#관계
#국가주의
#권력
#권력주체
#김유정
#다시 봄·봄
#동일성
#듣기의 윤리
#매개자
#문학 능력
#문학적 상상력
#물질성
#밀도
#반복
#반성적 주체
#배제
#봄·봄
#상호의존
#소년세계
#소통 가능성
#소통부재
#소통의 빈곤
#송미경
#시점의 활용
#쓰여지지 않은 자서전
#아동 서사문학
#아동문학
#아동서사문학
#윤리
#윤리성
#윤리적 주체
#이분법적 이데올로기
#이어쓰기
#이원수
#이중의 타자
#이청준
#이현주
#장애
#장애 담론
#장애담론
#재현 공간
#전복의 상상력
#정상가족
#정치성
#죄의식
#주변성
#증상
#책임성
#청소년소설
#타자
#타자성
#타자성의 공간
#타자윤리
#타자의 말
#타자의 말하기 방식
#타자의 목소리
#탈장애
#풍자
#학교
#함께 머물기
#환상
#희극성
#a strict moral sense
#an Unwritten Autobiography
#Babo Ondal [Idiot Ondal]
#Border Thinking
#Borderline
#Cheongjun Lee
#Children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Comicality
#communicability
#Conflict
#Density
#Dichotomous Ideology
#Disability
#Disability Discourse
#Dual Other
#Eenablement
#Ethic of Listening
#Ethical Subject
#Ethicality
#Ethics of Listening
#exclusion, the symptom
#Family Discourse
#fantasy
#Gong
#guilt
#identity
#Jinha
#Keeping distance
#Kim Yujeong
#Korean children’s literature
#Lee Hyunju
#Literary competence
#Literary Imagination
#Materiality
#Mediator
#Mutual Dependence
#Nationalism
#Normal Family
#Otherness
#Point of view
#Poverty of Communication
#power
#Relationship
#repetition
#Representation Space
#Responsibility
#Revolutionary Imagination
#satire
#school
#Song Mi-kyung
#Sonyunseke
#Space
#Speaking Way of the Other
#Staying Together
#Subject of Power
#Subsequent writing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the Borders
#the ethic
#the Ethic of the Other
#the ethical subject
#The Marginality
#The Other
#the Other’s Words
#the Otherness
#the Politics
#the public sphere
#the Space of the Otherness
#the subject of power
#the subject of self-reflection
#Voice of the Other
#Wonsu Lee
#Youth Novel
#Youth Novels

저자의 논문

연도별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연도별 이용수·피인용수 상세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피인용수는 저자의 논문이 DBpia 내 인용된 횟수이며, 실제 인용된 횟수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