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및 밀원수종으로 가치가 증대되고 있는 흑오미자 자원을 보존하고 육성하기 위한 육종 계획의 일환으로 흑오미자의 삽목증식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발근촉진제, 삽목시기 빛 IBA 농도효과, 모수령효과, 삽수채취 부위 및 배양토효과, 선발 개체간 발근력 차이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근촉진제별 삽목 발근율은 IBA 69%, NAA 55%, IAA 52%, 무처리구 52%순으로 나타나 IBA가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으며, 농도별 효과는 IBA 500㎎/ℓ 처리구에서 80%가 발근되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고 NAA 50 ㎎/ℓ 처리구가 30%로 가장 저조한 발근율을 보였다. 2. 삽목시기 및 농도별 효과는 7월 10일 IBA 500㎎/ℓ 처리구에서 80%의 발근율을 보여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8월 24일 무처리구에서 48%가 발근되어 가장 저조한 결과를 보였다. 3. 모수령별 삽목 발근율은 63 ~ 88%로 모수령의 증가에 따른 삽목 발근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뿌리수와 뿌리길이, 묘고에서는 뿌리수 5.9~9.6개, 뿌리길이 5.8 ~ 7.3㎝, 묘고 6.1~9.0㎝로 모수령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4. 삽수채취 부위별 발근율은 줄기 상부에서 60%, 중앙부에서 67%, 하부에서 50%가 발근되어 삽수채취 부위에 따라 줄기중앙부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배양토가 삽목발근에 미치는 영향은 VPPL 처리구가 68%가 발근되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비교구가 38%로 가장 저조한 결과를 보여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안정 되었다. 5. 발근율과 조사요인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삽수채취 부위와는 발근율, 뿌리수, 뿌리길이, 묘고와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안정되었으며, 배양토는 발근수와 높은 정의 상관 관계가 있었으나 다른 요인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선발 개체 간의 발근율은 40~85%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중 제주 2, 9, 15호가 80%가 발근되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제주 10호가 40%의 발근율을 보여 가장 저조한 결과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nigra by cutting. The treatments of rooting substances, cutting times, ortet ages, gathering positions of cuttings, growing media and clones were investigated to know the rooting ability of cuttings. IBA (indole butyric acid)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value, 68% rooting rate of cuttings, among whole rooting substances. IBA 500㎎/ℓ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value for concentration effect. On the other hand, NAA (naphthalen acetic acid) 50㎎/ℓ treatment showed 30% that was the lowest value from other treatments. IBA 500㎎/ℓ treatment on 10, July had the highest value of 80%, while the control on 24, August had the lowest value of 48% for effect of cutting time and rooting substance concentration. The younger ortet ages, the higher rooting rates. The gathering positions of cuttings such as middle, upper and lower parts showed 67%, 60% and 50%, respectively. The VPPL (vermiculite + peatmoss + perlite) treatment showed superior rooting rate which value was 68%. The control was 38% that was inferior rate for growing media treatment. The rooting rate, the number of root, the length of root and seedling height had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gathering position of cuttings. Also, the number of rooting had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growing media. However, the growing media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the other treatments except the number of rooting. The range of rooting rate was 40 ~ 85% between clones. Jeju 2, 9 and 15 clones had superior rooting rates, but Jeju 10 had inferior rooting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