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Prelude
Ⅱ. A Historical Skech
Ⅲ. Late industrialization model: Capitalist development state
Ⅳ. Social Science Propositions on Consequences of Expedited Catchup Development
Ⅴ. Leadership and Symbols of Authority in East Asia
Ⅵ. Conclusions
References
조이제 교수님의 玉稿에 대한 拙評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박정희 신화’라는 꿈에 접근하는 한 가지 방법 : 1960년대 한국의 통치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18 .12
박정희 시대 한국의 경제발전과 아시아적 가치
학술대회
2005 .12
박정희와 김일성 : 한국적 근대화의 두 가지 길
역사비평
2008 .02
박정희 시대의 민주화 운동
학술대회
2005 .12
박정희정권 시기 가정의례준칙과 근대화의변용에 관한 연구
담론201
2006 .01
박정희는 어떻게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하였는가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0 .12
“Coming to Terms with the Past”: Re-remembering the Era of Park Chung Hee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9 .09
박정희 시기 남북화해 원인에 관한 연구
학술대회
2005 .12
박정희 시대를 보는 눈
역사와현실
2009 .12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Military Dictatorship in Park Chung Dee Korea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1 .06
근대화의 제과제
동아문화
1965 .04
박정희 시대 전통의 재창조와 통치체제의 확립
동방학지
2010 .01
박정희의 경주고도(慶州古都)개발사업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2 .03
‘군인 박정희’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역사비평
2017 .11
박정희와 근대적 출세 욕망
역사비평
2009 .11
[왜?] 박정희의 근대화는 왜 가짜인가
내일을 여는 역사
2001 .12
공자의 관계중심 리더십(relationship-based leadership)과 현대 리더십의 접목과 그 학술적 의의
대동철학
2014 .01
박정희 정권과 한국 보수주의의 퇴보
역사비평
2011 .05
박정희 시대에서 경제발전과 민주주의의 양립성 문제 : 비교사적 고찰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09 .06
1960년대 후반 ‘조국근대화’ 이데올로기 주조와 담당 지식인의 인식
사학연구
2007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