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3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특성 요인, 유대 요인, 정서적 요인, 스트레스 요인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인인 개인적 특성 요인, 유대 요인, 정서적 요인, 스트레스요인과 종속변인인 자살충동 수준을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 통계분석을 통해 파악 하였으며, 각 독립변인별 자살충동에 대한 차이를 t-검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 활용한 변수간 상관관계와 다중공선성의 정도를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또한 각각의 독립변인들이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특성 요인에서는 전교 등수가 낮을수록, 유대 요인에 있어서는 부모 유대가 낮을수록, 지역사회 유대가 높을수록, 정서적 요인에서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할수록, 스트레스 요인에서는 부모 스트레스, 친구 스트레스, 외모 스트레스, 경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자살충동 수준이 상승하는 반면, 성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자살충동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이에 따르는 제언을 전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youth. Specially, it tried to find out how personal traits, attachment characteristics, emotional factors and stress factors influence on their level of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used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KYPS), which was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KIYD). It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2,887 cases. It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though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d on their level of suicidal ideation, academic record, parents attachment, community attachment, emotion, parent stress, academic stress, friend stress, physical stress and economic stress were key determinants of their level of suicidal ideation in Korean Youth. Findings may be used for realizing the risk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and developing new promising strategies to relieve the problems of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youth. (Korean J Str Res 2012;20:139∼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