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글 머리에
2. 農事를 짓는 사람들
3. ‘하늘’의 發見
4. 司祭 나타나다
5. 政治的 支配者
6. 거울과 短劍을 쥔 司祭=王
7. 최초의 政治理論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北韓에서의 古朝鮮 硏究
한국사 시민강좌
1988 .02
北韓學界에서의 「古朝鮮」 硏究
역사학보
1989 .12
古朝鮮의 國家 형성
한국사 시민강좌
1988 .02
古朝鮮의 위치와 강역
한국사 시민강좌
1988 .02
古朝鮮 官名의 系統的 理解
역사교육
1994 .12
마이클 세스와 한국사 교과서의 고대사 해석 비교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7 .09
古朝鮮의 疆域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1984 .08
古朝鮮ㆍ夫餘의 국가구조와 정치운영-부 및 부체제론과 관련하여-
한국고대사연구
2000 .03
古朝鮮의 ‘王’과 國家形成
동북아역사논총
2005 .10
國粹主義史學과 현대의 한국사학 : 古朝鮮史를 중심으로
한국사 시민강좌
1997 .02
高句麗의 古朝鮮 繼承性에 關한 硏究 1
고구려발해연구
2002 .06
고르바쵸프개혁의 등장 배경에 대한 政治ㆍ經濟體制論的 硏究
슬라브학보
1992 .07
古朝鮮ㆍ辰國硏究의 動向과 「국사」 敎科書의 敍述
역사교육
1989 .06
[기획논문] 단군(檀君)과 고조선사(古朝鮮史) 연구의 현황과 과제
고조선단군학
1999 .10
政治와 敎育 : 1980년대 일본 교육개혁의 政治過程과 政策的 示唆點
성곡논총
1994 .06
古朝鮮 地名 ‘阿斯達’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2019 .06
朝鮮後期의 輿論과 政治 : ‘公論政治’의 持續과 斷絶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1 .02
靑銅器를 통해 본 古朝鮮과 주변사회
동북아역사논총
2005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