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자현 (Pukyong National University) 김석구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황인주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안재환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강성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이원태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School) 임준혁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이제근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이태윤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저널정보
한국지반환경공학회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제15권 제9호
발행연도
2014.9
수록면
5 - 12 (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슬러지의 안정화, 휘발성 고형물 감소, 바이오가스 생산을 위해 혐기성 소화공정이 슬러지의 처리 방안으로 연구됐다. 본 연구에서는 하?폐수 슬러지(MWS, IWS), 혼합슬러지(Mix), 탈수슬러지(MWSC)를 대상으로 바이오가스 생산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Total solids, Volatile solids, 원소분석, BMP 실험을 하였다. Total solids 함량은 11.2∼20.6 %의 값을 가지며 Volatile solids의 함량은 TS의 62.1∼83.1 %의 값을 가지고 있다. C/N비는 4.96∼8.33의 값을 나타났다. BMP test를 한 결과 혼합슬러지의 경우 약 20일, 하?폐수 슬러지의 경우 약 16∼17일에 메탄발생이 종료되었다. 탈수케이크는 약 10일까지 메탄이 발생하였으며 가장 빨리 메탄발생이 종료되었다. 누적 메탄발생량의 경우 혼합슬러지가 395.50 mL CH₄/g VS으로 가장 높은 누적 메탄 발생량을 가진다. 누적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탈수케이크를 제외하고 비슷한 값을 보이고 있다.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실험 재료 및 방법
3. 실험 결과 및 토론
4.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21)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5-530-002465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