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개도에서 수집된 된장의 화학성분 분석 결과 환원당 함량은 강원도 된장이 122.37±0.95 mg/g으로 다른 지역 된장들보다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지역 된장들은 거의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전라도 된장이 가장 높았고 경기도 된장이 가장 낮았으나 된장의 전통식품 품질인준 기준 300 mg%를 모두 충족시키는 값이었다. 식염 함량은 충청도 된장(14.58%)과 경상도 된장(13.54%)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강원도 된장(9.76%)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H 값 범위는 5.36∼4.79로 된장 모두 정상적인 시판 제품의 범위였고, 적정산도는 전라도 된장과 경기도 된장이 220(0.1 N NaOH mL/5 g)으로 높은 적정산도를 나타내었다. 된장에 대한 묘사분석 결과를 토대로 주성분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은 짠맛과 짠맛 후미를 갖는 된장 제품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된장의 화학성분과 기호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된장의 소금 농도와 pH 값이 높고, 환원당 함량이 낮은 제품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된장의 화학성분과 묘사분석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와 상관관계를 부분 최소 제곱을 이용하여 pH가 높고 짠맛이 있는 된장을 좋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o study traditional Doenjang characteristics, Doenjang was purchased from five different provinces: Chungcheong (CC), Gangwon (GW), Gyeonggi (GG), Gyeongsang (GS), and Jeolla (JL). To determin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contents of reducing sugar, amino type nitrogen, salt, pH, and acidity were analyze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sensory descriptive analysis. Reducing sugar content was highest for Doenjang from GW province. Amino type nitrogen content was highest for Doenjang from JL province. The salt content was highest in Doenjang from CC and GS provinces. Afte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based on sensory descriptive analysis, salty taste and aftertaste were highly correlated with overall acceptance. In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chemical compounds and overall acceptance, Doenjang contained low reducing sugar content, and high pH valu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verall acceptance. In conclusion, Doenjang with high pH value and salty taste and aftertaste have high overall accep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