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Kang Pyung-kyung (Sogang University) Kim Tae-nyun (Frostburg State University)
저널정보
한국국제회계학회 국제회계연구 국제회계연구 제61집
발행연도
2015.6
수록면
171 - 190 (2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기존 선행 연구들에서는 주주들, 투자자들, 채권자들과 같은 기업외부인들과 기업 경영진 사이의 정보비대칭 정도에 대한 직접적인 관측이 어렵기 때문에 정보비대칭을 측정하기 위한 대용치들을 사용하였다. 특히, bid-ask spread는 많은 기존 연구들에서 정보비대칭의 대용치로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Bartov와 Bodnar(1996)는 bid-ask spread를 정보비대칭 정도에 대한 대용치로 이용하는 것이 실제적으로 여러 문제점이 있다는 사실을 주장하면서 정보비대칭 정도에 대한 보다나은 대용치로서 조정주식거래량(adjusted trading volume)을 새로이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Bartov와 Bodnar(1996)에 의해 제시된 조정 주식거래량(adjusted trading volume)을 정보비대칭의 대용치로 활용하여 정보비대칭 정도와 이익조정 크기 사이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재고찰 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McVay(2006) 연구에서 고안된 비예측 핵심이익(unexpected core earnings)을 이익조정정도에 대한 새로운 대용치로 채택하여 정보비대칭 정도와 이익조정 간의 관계를 재검토하였다.
회계연도 기준 1993년에서 2013년 사이에 미국 NYSE, AMEX, NASDAQ에서 거래된 기업들에 대한 자료를 이용한 본 연구에서는 조정 주식거래량이 비예측 핵심이익과 유의적인 양(+)의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하였다. 이는 기존 이론연구 및 실증연구들에서 입증되었던 결과를 재확인 해주는 연구결과이다. 뿐만 아니라, 주가수익률의 변동성(residual volatility of stock returns)을 정보비대칭 정도의 대용치로 이용한 강건성 검정에서 역시 주가수익률의 변동성이 비예측 핵심이익과 양(+)의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결과는 기업외부인들과 기업 경영진 사이의 정보비대칭 정도가 커짐에 따라서 경영자들이 이익조정에 관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음을 다시 한 번 더 시사해 주고 있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Introduction
Ⅱ. Related Literature
Ⅲ. Methodology
Ⅳ. Empirical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325-001649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