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I. 머리말
II. 종교학의 탄생과 그 이후
III. 죽음과 고통의 대답
IV. 종교심리학과 종교학의 조우
V. 희망의 통로와 신 휴머니즘
VI. 대화, 시민성, 그리고 종교교육
VII.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1세기 종교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 그리고 종교학의 역할
종교연구
2025 .04
아득한 희망 : 눅 3:3~6
한국여성신학
2017 .06
개신교 종립학교에서의 종교학 교과서와 종교평화적 성찰
종교교육학연구
2020 .01
표층과 심층의 시각에서 바라본 대순진리회 - 종교적 경험의 관점에서 -
대순사상논총
2016 .12
『2024 학술표준분류 해설서』의 종교학 분야 비판적 검토
종교연구
2025 .04
종교교육학의 관점에서 본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종교 -그 과제와 전망-
종교연구
2022 .04
종교교재 개발의 과제와 전망
종교교육학연구
2024 .09
학교의 종교교육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논의 : 한국 “종교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2016 .10
현대 한국의 안티 종교운동
대순사상논총
2017 .12
희망은 늘 깨어 있다
시조시학
2022 .06
새로운 희망으로
월간에세이
2021 .06
희망
숙명문학
2022 .11
희망에 관하여
월간에세이
2020 .12
희망은 여기에
황해문화
2025 .03
나의 희망가
수필미학
2021 .03
카리스마의 집중과 확산, 그 기로에서 - 가톨릭 중등 종교교과서 문제를 중심으로 -
종교교육학연구
2020 .01
당대 중국 종교정책에 나타나는 권익의 보호와 통제 ― 2018년 수정 「종교사무조례」를 중심으로
중국학
2018 .01
종교학과 불교학, 그 정체성과관계의 다양성
한국불교학
2016 .01
인지종교학의 관점에서 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종교
종교연구
2022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