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장-1) 중국정부는 북한의 남한침공계획을 1949년 초부터 알았고, 동조, 관여했는가?
1장-2) 1950년 6월 25일이 한국전쟁의 “유일한” 분기점(開戰의 날)인가?
1장-3) ‘6ㆍ25’를 주도한 사람은 도대체 누구인가?
2장-1) 한국전쟁에 대한 미국의 군사적 개입에 대한 중국의 초기 반응과 대응
2장-2) 미국의 한국전쟁 개입의 전략적 의도에 대한 중국의 판단과 對美 군사전략
3장-1) 군사관찰조의 북한 파견
3장-2) 東北邊防軍의 창설과 임무
4장-1) 對 베트남ㆍ대만 및 티베트의 전략 조정
5장-1) 9월 출병구상과 그것의 연기
5장-2) 미군의 인천상륙의 예측
5장-3) 3단계 병력배치 계획
6장-1) 미군의 인천상륙 후 상황정보의 交換不實에 관한 북한, 소련에 대한 불만
6장-2) 참전준비의 가속화
7장-1과 2) 지원병 출병결정 과정에서의 논란과 모택동의 승리
8장-1) 政治國擴大會議에서의 早期參戰 결정 후 취한 군령 및 외교적 조치
8장-2) ?출병명령?日과 “一時中止”日 間 군내 불만과 중국의 對蘇, 북한 관계
9장-1) “주은래ㆍ스탈린 비밀회담”의 내용과 결과
10장-1) 지원군 출병의 재결정
10장-2) 지원군 주력부대들의 압록강 도하 과정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새로운 사실, 새로운 관점 : 毛澤東의 6ㆍ25전쟁 동의과정과 동의의 의미 재검토
군사
2009 .06
모택동 사상의 비판적 고찰, Critical Perspectives on Mao Zedong's Thought, eds. by Arif Dirlik, Paul Healy, Nick Knight, (New Jersey: Humanities Press, 1997)
동아시아비평
1998 .10
China After Mao
아세아연구
1977 .07
모택동과 등소평의 핵군비통제정책
군사
2005 .08
중국학계의 마오쩌둥의 해양사상 연구현황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16 .10
중국의 대외인식과 대외정책 : 마오쩌둥(毛澤東)과 덩샤오핑(鄧小平)의 전쟁관과 평화관을 중심으로
평화연구
2005 .04
모택동의 전략사상
군사
1988 .12
중국의 6 · 25 전쟁에 대한 연구 성과와 동향
군사
2005 .06
Legacy of the Principles of People’s War in China’s Military Modernization
한국군사학논집
2013 .10
毛澤東의 發展戰略
법학연구
1979 .12
6 · 25戰爭에서 마오쩌둥의 역할 재조명 : 데이빗 쑤이(David Tsui) 한국국제전략연구소 譯, 『中國의 6 · 25戰爭 參戰』(서울: 다와, 2011)
군사
2017 .03
The Global War on Terrorism as Meta-Narrative: An Alternative Reading of Recent Chinese History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2008 .01
6ㆍ25전쟁에 대한 중국의 개입과 중국에 미친 영향
군사
2007 .06
中國的戰爭觀與和平思想 : 以孔子、孫子、毛澤東、鄭小平為中心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06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