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가 - 자본이 인문학을 억압하는 이유
대기업이 인문계 졸업자를 차별하는 이유
국가 - 자본이 말하는 학문 융합의 필요성은 거짓이다
학문 융합이 학생들의 창의성을 높인다고?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기괴의 탄생
자음과모음
2019 .06
그리고 기업 인문학이 있었다
인물과사상
2018 .02
개인의 탄생
자음과모음
2020 .09
융합 시대의 문학과 문학교육의 과제 - 들뢰즈의 ‘차이’가 생성하는 문학의 변화를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2022 .12
지나치게 문학적인
번역하다
2022 .04
[문학] 문학이 해야 할 일
창비어린이
2015 .06
문학의 밤 외 1편
시조시학
2022 .12
밤, 항구 그리고 울음 - 박현덕, 『밤 군산항』(문학들, 2020)
시조시학
2020 .06
다시, 문학지
자음과모음
2019 .03
문학의 일, 문학은 일
자음과모음
2020 .03
다음 책도 문학이기를
번역하다
2022 .03
새 생명의 탄생
수필미학
2015 .06
기업에서 융합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 지속성장을 위한 융합의 방향 제언
문명과 경계
2018 .12
나의 학문 활동
한국고대사연구
2015 .03
3.1운동, 그 기억의 탄생
[TCHCCOS] 서울과 역사
2018 .06
[문학] 문학과 국가 : 헬문학시대의 문학진흥법
황해문화
2016 .03
문학에 기대어 자기 이야기 쓰기 : 《우리의 문학 수업》을 읽고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3 .12
학문 융합 시대의 후설 현상학
인문과학
2015 .01
생태계로서의 문학 VS. 시스템으로서의 문학
문화과학
2015 .09
[문학] 2016년 문학의 과업
창비어린이
2016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