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의신 (서울사이버대학교) 김선영 (예술경영지원센터)
저널정보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한국과학예술포럼 Vol.28
발행연도
2017.3
수록면
227 - 242 (16page)
DOI
10.17548/ksaf.2017.03.28.22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개인 뿐 아니라 사회, 기업, 경제 등 모든 것들이 다양한 과학기술과 융합하며 그들의 패러다임 전환을 유도한다. 이는 국가간, 기업간, 산업간 그리고 사회 전체 시스템의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또한 문화경제학자 트로스비(D. Throsby)는 인터넷의 출현과 광범위한 디지털 경제의 등장은 미래 예술 산업에서 구조, 경영은 물론 궁극적으로 예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견했다. 이는 데이터 관리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e-비즈니스가 예술의 발전에 결정적 촉매제가 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최근의 예술은 시공간적 경계를 뛰어넘어 예술 소통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디지털 영상기술과 결합하거나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빠른 속도로 예술창작의 범위를 넓히고 있으며, 시간적 · 공간적 · 경제적 접근성을 확대함으로써 서로 다른 표현과 소통 방식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술의 발전은 결국 기술의 활용과 지배의 과정으로, 능력과 의도, 표현매체와 표현내용의 조화된 일치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공연예술은 공급과 유통 등에 많은 난제를 내포하고 있다. 예술의 영역은 확장되었지만 관객에게 전달되기까지의 ‘유통 기술’은 아직 제대로 구축되어있지 못하며, 이는 공연예술이 선순환되는 여건이 만들어지는데 어려움을 준다. 결과적으로 공연예술의 융합 또는 확장은 예술시장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 속에 정체와 확대의 양극화 현상을 보이며 침체와 고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고 양질의 공연예술 콘텐츠를 생산, 공급하고 유통하는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투명한 시장 환경 조성이 되어야하며, 이를 위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공연정보와 데이터 시스템이 필요하다. ‘데이터’는 산업을 위한 기초자료이자 기반이다. 예술 또한 예외는 아니다.
‘4차 산업혁명’이란 화두를 세상에 던진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교수는 빠른 속도로 진화하는 고객의 욕구 해소와 풍부한 데이터를 위해서는 포괄적인 협력을 통해 자원을 공유할 때 모두에게 중요한 가치가 창출된다고 하였다. 데이터를 통한 고객의 경험, 데이터 기반 서비스 등의 분석과 활용을 통해 정책을 세우고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형성하고 집행하여야 시장의 선순환 구조와 그에 따른 산업화를 이끌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것들을 위해서 공연예술시장에서는 무엇보다 ‘데이터 플랫폼’으로서의 공연예술통합전산망 구축 및 안정화가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의 현황을 분석하고 직면한 문제점들을 살펴봄으로써 그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공연예술통합 전산망은 먼저 정량적 데이터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찾아야 하며 공연법 개정등 법적, 제도적 장치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의 예술, 융복합 예술 등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현 시대에 정확한 데이터 확보와 분석을 위한 보다 세밀하고 체계적인 장르의 재분류가 필요하다. 그리고 제공방식 및 서비스 노출의 다변화, 포탈과의 공연 정보 연계 등을 통한 활용도 제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016년 11월,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이 대형 예매처들의 참여로 본격화되었지만 순조롭게 안착하기까지 아직 남겨진 과제들이 많다. 이러한 연구들이 기초자료로서 사용되어지고 공연예술의 선진화와 산업화의 기본토대 구축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인 공연통전망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가 나오길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공연예술통합전산망 현황
Ⅳ. 문제점 및 개선방안
V.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

참고문헌 (3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600-002375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