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근대어, 국어, 사전
국어 정립의 좌절과 사전 편찬의 시작
해방 그리고 사전의 출간
『큰 사전』완간의 의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어 사전의 '-아', '-어', '-야','-여'
동악어문학
2002 .08
국어 교육과 "큰 사전"
한글
1957 .10
국어 사전과 ‘사전 문법’ : 사전 문법학의 정립을 위하여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2 .11
내가 만난 사전, 만나고 싶은 사전
새국어생활
2009 .12
대 사전
숙명문학
2018 .10
한ㆍ중(韓ㆍ中) 사전 비교 연구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5 .11
다국어 사전에서의 대응형 설정 문제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1 .08
국어 어휘 역사 사전에 대하여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2 .02
국어 사전의 {-느-}에 대하여
동악어문학
2003 .08
사전 편찬과 국어 정보화의 과제
새국어생활
2007 .06
『백사전』의 성의식 고찰
중어중문학
2002 .12
[성서어휘 사전 (26)] 새로운 탄생
신학전망
1978 .06
국어 사전 편찬 , 그 성과와 과제 (1)
한국어학
1996 .06
새로운 언어 사전과의 만남: ≪우리말샘≫, ≪한국어기초사전≫, ≪한-외 학습사전≫
새국어생활
2016 .00
영영학습자 사전 비교 분석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3 .06
말뭉치 기반 초등국어사전 알기 : 『연세초등국어사전』을 중심으로
한국사전학
2005 .10
국어 사전과 어원ㆍ어휘사 연구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3 .04
독일의 두덴 사전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03 .07
한국어 학습용 다국어 사전의 구축을 위한 번역 전략
새국어생활
2016 .00
한국어 학습자의 사전 이용 실태
국어국문학
201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