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I. 문제의 제기
Ⅱ. 지배권의 사적이익
Ⅲ. 경영권 프리미엄의 구성과 사적이익 및 시너지와의 관계
Ⅳ. 시사점 - 사적이익에 대한 접근방법
V. 결어
參考文獻
Abstract
대법원 2017. 9. 21. 선고 2015두60884 판결
법인이 임원에게 직무집행의 대가로서 지급하는 보수는 법인의 사업수행을 위하여 지출하는 비용으로서 원칙적으로 손금산입의 대상이 된다. 하지만 구 법인세법(2010. 12. 30. 법률 제1042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19조 제1항, 제20조 제1호, 제26조 제1호, 법인세법 시행령 제43조 제1항의 문언과 법인의 소득을 부당하게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1도524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9. 26. 선고 2013도5214 판결
[1] 구 증권거래법(2007. 8. 3. 법률 제8635호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로 폐지) 제188조의4 제1항 제1호 및 제2호에서 금지하고 있는 시장조작행위의 일종인 통정매매란, 상장유가증권 또는 협회중개시장에 등록된 유가증권의 매매거래에 관하여 양 당사자가 미리 통정한 후 동일 유가증권에 대하여 같은 시기에 같은 가격으로 매수
자세히 보기부산고등법원 2010. 12. 29. 선고 2010노669 판결
[1] 법인이나 단체에서 임직원에게 업무를 수행하는 데에 드는 비용 명목으로 정관 기타의 규정에 의해 지급되는 이른바 판공비 또는 업무추진비가 직무수행에 드는 경비를 보전해 주는 실비변상적 급여의 성질을 가지고 있고, 정관이나 그 지급기준 등에서 업무와 관련하여 지출하도록 포괄적으로 정하고 있을 뿐 그 용도나 목적에 구체적인 제한을 두고 있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5. 29. 선고 2007도4949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주주는 회사에 대하여 주식의 인수가액에 대한 납입의무를 부담할 뿐 인수가액 전액을 납입하여 주식을 취득한 후에는 주주 유한책임의 원칙에 따라 회사에 대하여 추가 출자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점, 회사가 준비금을 자본으로 전입하거나 이익을 주식으로 배당할 경우에는 주주들에게 지분비율에 따라 무상으로 신주를 발행할 수 있는 점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7. 11. 9. 선고 2015도12633 판결
배임죄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위배하는 행위로써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이를 취득하게 하여 본인에게 손해를 가함으로써 성립한다. 여기서 그 `임무에 위배하는 행위’는 사무의 내용, 성질 등 구체적 상황에 비추어 법률의 규정, 계약의 내용 혹은 신의칙상 당연히 할 것으로 기대되는 행위를 하지 않거나 당연히 하지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1976. 6. 11. 선고 75나1555 제2민사부판결
주주의 이익배당청구권은 주주총회의 배당결의전에는 추상적인것에 지나지않아 주주에게 확정적인 이익배당청구권이 없으며 배당결의가 없다하여 상법상 회사의 채무불이행이나 불법행위가 될 수 없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0. 12. 8. 선고 99도3338 판결
[1] 배임죄에서 `임무에 위배하는 행위`라 함은 처리하는 사무의 내용, 성질 등 구체적 상황에 비추어 법률의 규정, 계약의 내용 혹은 신의칙상 당연히 할 것으로 기대되는 행위를 하지 않거나 당연히 하지 않아야 할 것으로 기대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본인과 사이의 신임관계를 저버리는 일체의 행위를 포함하며, `재산상의 손해를 가한 때`라 함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의무공개매수 제도의 기능과 도입 가능성에 대한 검토
증권법연구
2019 .08
회사에서의 이익충돌
저스티스
2017 .04
지배권 프리미엄과 충실의무 관점에서 본 지배주주와 소수주주의 관계 -다수결원칙에 따른 지배권의 정당화와 내재적 한계
사법
2021 .09
한국과 중국의 지배주주의 책임에 관한 비교
국제법무
2017 .05
지배권 프리미엄과 의무공개매수 ― 주주의 비례적 이익 관점에서 ―
증권법연구
2022 .08
지배주주의 충실의무 도입 가능성에 대한 소고 - 미국 델라웨어주법상 이사와 지배주주의 신인의무 비교를 중심으로 -
비교사법
2025 .02
주주평등원칙의 발전적 해체와 재정립
상사판례연구
2022 .12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 시 소수주주 보호에 관한 연구 -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를 중심으로 -
상사판례연구
2023 .04
사적 계약에 의한 기업지배구조의 개편 - 대법원 2021다293213 판결이 재정립한 주주평등원칙의 함의를 중심으로
사법
2024 .06
주주평등의 원칙의 법리 재검토 - 최근 판례를 중심으로 -
법학논총
2024 .09
주주축출의 정당성과 그 한계
법학연구
2023 .11
지배주주의 매도청구권 제도 개선방안 - 최근 판례 이론 및 일본 주식매도청구 제도 검토를 중심으로 -
상사판례연구
2022 .06
지배주주의 초과지배권과 기업실패 : 생존분석을 응용한 영향관계 분석
산업경제연구
2021 .06
우리나라 물적분할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LG화학 사례를 중심으로
로고스경영연구
2022 .06
기업집단의 지배주주인가? 계열기업의 지배주주인가? :기업집단 차원의 지배주주 유인구조와 그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경제평론
2020 .01
폐쇄회사에서의 소수주주의 보호
경영법률
2019 .01
지배주주에 의한 소수주식의 전부취득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2015 .06
지배주주의 매도청구권 행사의 요건과 효과 ― 대상판결: 대법원 2020. 6. 11. 선고 2018다224699 판결 ―
증권법연구
2021 .12
현행 주주제안권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2019 .09
상법상 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 및 지배주주의 충실의무 명문화에 관한 소고
기업법연구
2024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