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시설재배 파인애플의 개화 처리 방법에 의한 개화일수 비교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24 .11
개화시기가 상이한 두 개의 무 계통간 개화유전자 서열변이 분석
한국육종학회지
2017 .01
Validation of a Ensemble Flowering Prediction Model for the ‘Sulhyang’ Strawberry Using Independent Regional Flowering Data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24 .11
휴면기 저온 누적 시간 및 발아 후 변온이 국내 주요 사과품종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7 .01
Genome-wide identification of flowering time genes associated with vernalization and the regulatory flowering networks in Chinese cabbage
Plant Biotechnology Reports
2018 .10
Co-ordinated responses to endogenous and environmental triggers allow a well-timed floral transition in plants
Plant Biotechnology Reports
2022 .04
대추나무 개화생리와 꿀벌 방화 특성
Journal of Apiculture
2015 .11
Advanced real-time PCR and NGS panel techniques for accurat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probiotic species in the product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2024 .10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키위 품종 '해금'의 개화시기 변동과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 전남 키위 주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01
Generation of Late-flowering Radish (Raphanus sativus) using CRISPR/Cas9 RNP Technology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21 .05
저온기 최저온도에 따른 망고의 개화 및 과실발달
한국농림기상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01
무궁화 품종별 개화 특성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19 .10
작물모형의 생물계절 및 잠재수량 예측력 개선 방법 탐색: I. 유전 모수 정보 향상으로 콩의 개화시기 및 잠재수량 예측력 향상이 가능한가?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7 .01
Prediction of Schizandra chinensis Flowering Season Using Meteorological Data
한국약용작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 .05
Applicability of Soil Suitability Class Assessed with the Quantification Theory I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022 .05
Identification of Flowering-related Genes in Angelica gigas Nakai
한국약용작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3 .05
배추 속 작물의 개화형 판별 마커 시스템 개발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2017 .01
야간온도 변화에 따른 망고의 생육단계 및 개화 특성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20 .11
파종일이 몇몇 봄 경관용 화훼류의 개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22 .11
Environmental and Endogenous Cues Coordinate the Flowering Time in Plants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22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