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이동준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유창식
발행연도
2013
저작권
한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2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보청기 시장에서는 오디오 신호로 복원하기 위해 디지털 입력 D급 증폭기를 이용하고 있다. D급 증폭기는 디지털 회로와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되어진다. 디지털 회로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출력 신호를 D/A 변조기 입력에 적합하게 데이터 변조시키고, 직병렬 변환기와 보간 필터 그리고 디지털 시그마-델타 변조기로 구성되어있다. 1 bit, 320 kbps 직렬신호 받아 직병렬 변환기를 통해 16 bit, 20 kbps 펄스 코드 변조 신호로 변환한다. 보간 필터는 이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40 kbps로 데이터 속도를 높인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가상 성분들을 제거하고 이 출력을 디지털 시그마-델타 변조기를 통해 노이즈 쉐이핑(noise shaping)된 신호를 아날로그 시그마-델타 변조기에 전달하게 된다. 디지털 시그마-델타 변조기에 의해 1.5 bit, 2.56 Mbps로 변조된 신호는 간단한 DAC에 의해 아날로그 시그마-델타 변조기의 입력으로 인가 된다. 아날로그 시그마-델타 변조기를 통해 D-급 증폭기로 스피커를 구동하면서 발생하는 비상적인 특성에 의한 잡음을 억제하여 높은 신호 대 잡음비 특성을 얻게 된다. 칩은 글로벌 파운드리즈의 0.13 μm의 저전력 CMOS 공정으로 제작되었다. D급 증폭기가 1 kHz에서 160 Ω의 임피던스를 갖는 스피커를 구동하고 신호의 최대 출력 파워는 1.19 mW이다. 측정된 최대 신호 대 잡음+왜곡 비(signal to noise+distortion, SNDR)는 88.0 dB이다. 1.2 V 공급전압 하에 D/A 컨버터의 전력소모는 304 μW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