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문혜진 (건양대학교, 건양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박주영
발행연도
2019
저작권
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7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으로 국?공립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도덕적 민감성, 사회적 지지와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를 긍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정책마련과 개선전략을 모색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서술연구이다.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유혜라, 권보은, 장연수와 윤현경(2005)이 개발한 SARS 환자 간호의도 예측 도구를 바탕으로 이지연(2018)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권영미와 안옥희(2005)가 개발한 도구, 도덕적 민감성은 Han, Kim와 Kim, Ahn 등(2010)의 한국판 도덕적 민감성(K-MSQ) 도구, 사회적 지지는 Thomas와 Ganster (1995)의 도구와 King, Mattimore, King와 Adams (1995)의 도구를 종합하여 이상조(2016)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K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거친 후 2019년 4월 9일부터 2019년 4월 20일까지 전국 4개 보훈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후 215부를 배부하고 응답이 미흡한 설문지를 제외한 200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 23.0을 이용하여 처리하였고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 대상자의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 신념요인, 핵심요인, 간호 전문직관, 도덕적 민감성 및 사회적 지지의 정도 중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는 ?3점에서 +3점 범위 중 0.17±1.23점 이었다. 신념요인은 ?3점에서 +3점 중 통제신념 1.08±0.72점, 행위신념 0.57±0.65점, 규범신념 ?0.20 ±0.94점 순으로 나타났고, 핵심요인에서는 ?3점에서 +3점 중 행위에 대한 태도 1.05±1.06점, 주관적 규범 0.77±1.02점, 지각된 행위통제 ?0.17±1.26점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 중 3.46±0.48점 이었으며, 하위영역으로 간호의 전문성 3.71±0.46점, 사회적 인식 3.48±0.50점, 전문직 자아개념 3.33±0.51점, 간호의 독자성 3.24±0.76점, 간호실무 역할 3.05±0.56점 순이었다. 도덕적 민감성은 7점 만점 중 4.81±0.54점 이었으며, 하위영역으로는 환자중심 간호 5.14±0.84점, 전문적 책임 5.07±0.68점, 갈등 5.06±0.66점, 도덕적 의미 4.62±0.69점, 선행 4.22±0.65점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5점 만점에 3.98±0.45점이었으며, 가족의 지지 4.06 ±0.62점, 동료의 지지 3.99±0.52 점, 상사의 지지 3.90±0.57점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의 차이는 직위에서 책임간호사 이상이 일반간호사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t=-2.70, p=.007), 최종학력은 석사 이상이 학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F=5.33, p=.006). 근무부서는 기타 진료지원부서가 병동, 외래, 특수부서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F=8.79, p<.001), 근무 중 일상적 환자 접촉이 없는 대상자가 일상적 환자 접촉이 있는 대상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4.28, p<.001).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도덕적 민감성, 사회적 지지와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 간의 상관관계는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와 신념요인의 항목에서 행위신념(r=.18, p=.009)과 규범신념(r=.58, p<.001)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신념은 음의 상관관계(r=-.16, p=.028)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요인에서는 행위에 대한 태도(r=.40, p<.001), 주관적 규범(r=.43, p<.001), 지각된 행위통제(r=.72, p<.001)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는 간호전문직관(r=.35, p<.001), 도덕적 민감성(r=.33, p<.001), 사회적 지지(r=.21, p=.003)와 각각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대상자의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지각된 행위통제, 규범신념, 주관적 규범, 통제신념, 행위에 대한 태도, 도덕적 민감성이었다.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β=.723, p<.001)의 설명력은 52%였으며, 규범신념(β=.241, p<.001)이 추가되면서 56%의 설명력을 보였다. 주관적 규범(β=.169, p=.001)이 추가되면서 58%의 설명력을 보였고, 통제신념(β=-.618, p<.001)이 추가되면서 60%의 설명력을 보였다. 도덕적 민감성(β=.216, p<.001)이 추가되면서 64%의 설명력을 보였고, 행위에 대한 태도(β=.101, p<.036)가 추가되면서 6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각된 행위통제와 주관적 규범, 행위에 대한 태도, 도덕적 민감성을 향상시켜야 하며, 도덕적 민감성의 향상을 위하여 간호윤리에 대한 교육 또한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 신종감염병 간호 수행 전 신종감염병 대응에 대한 철저한 교육과 훈련을 통한 감염병의 특성에 맞는 사전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목적 4
제3절 용어의 정의 4
제2장 문헌고찰 8
제1절 신종감염병과 간호의도 8
제2절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와 영향요인 10
1. 간호전문직관 10
2. 도덕적 민감성 11
3. 사회적지지 13
제3장 개념적 기틀 16
제4장 연구방법 19
제1절 연구설계 19
제2절 연구대상 19
제3절 연구도구 19
1. 일반적 특성 19
2.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 20
3. 간호전문직관 22
4. 도덕적 민감성 22
5. 사회적지지 23
제4절 자료수집 및 연구윤리 23
제5절 자료분석 방법 24
제5장 연구결과 25
제1절 대상자의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 간호전문직관, 도덕적 민감성, 사회적 지지의 정도 25
제2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 간호전문직관, 도덕적 민감성, 사회적 지지 정도의 차이 27
제3절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도덕적 민감성, 사회적 지지와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 간의 상관관계 30
제4절 대상자의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32
제5장 논의 34
제6장 결론 및 제언 42
제1절 결론 42
제2절 제언 44
참고문헌 45
Abstract 53
부록 1. 연구대상자 설명문 58
부록 2. 연구대상자 동의서 64
부록 3. 측정도구(설문지) 66
부록 4. 측정도구 사용 승인서 75
부록 5. 생명윤리심의위원회 심의결과 통지서(최종) 78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