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친일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2. 자기비판을 통한 자아 정체성의 확립과 죄의식의 두 유형
3. 민족적 죄의식의 표출과 자존심의 회복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해방 직후 소설에 나타난 '민족'개념 형성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2003 .06
The Nature and Process of the Korean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 Journal
1996 .03
1940년대 문학연구의 성과와 과제 : 일제말기 친일문학 논의를 중심으로
우리말글
2006 .08
해방기 소설의 민족주의 과잉 양상 고찰 : 일본인 소재의 소설을 중심으로
어문학
2014 .03
죄책감과 수치심에 대한 영적 정신역동적 이해: 창세기 3: 1-21과 요 4: 1-42을 중심으로
목회와 상담
2018 .01
해방기 채만식 문학의 자기풍자와 시대감각 연구
현대소설연구
2019 .09
해방기 김기림의 정치의식
비평문학
2009 .03
National Literature of Korea
Korea Journal
1974 .08
수치심과 죄책감에 대한 성경적 이해와 치유를 위한 기독교상담적 접근
복음과 상담
2011 .01
1950년대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죄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학논집
2010 .12
해방기 자기비판소설 연구
국어국문학
1995 .04
일본문학의 한국어번역에 관한 통사적 고찰
아시아문화연구
2007 .05
해방기 학문으로서의 ‘현대문학’ 연구 : ‘문학개론’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14 .09
태국 작가 윈 리어우와린의 단편소설 「랏 엑까텟의 세 가지 세상」을 통해 본 인간의 죄의식과 수치심
외국문학연구
2011 .11
A Critical View on Pro-Japanese Literature
Korea Journal
1973 .02
The Direction of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90s
Korea Journal
1992 .06
경남 지역문학과 부왜활동
한국문학논총
2002 .01
김동리의『해방』에 나타난 친일의 표상
국어교육연구
2012 .08
해방 이후의 비평-비평과 국가
한국근대문학연구
2009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