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친일’, 해결되지 못한 숙제
2. 신체제 협력에 감추어진 이면
3. 사적 영역으로의 귀환, 순응인가 저항인가
4. ‘친일’문학, ‘변명’으로 읽히지 않기 위한 방법
참고문헌
영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채만식의 '근대' 인식과 '친일'의 문제
국어국문학
2001 .12
[특집/친일문학] 친일문학론의 인식구조
한국근대문학연구
2003 .04
친일과 대한민국
철학과 현실
2020 .09
사회를 통해 본 '친일' :『일진회의 문명화론과 친일활동』에 대한 서평
내일을 여는 역사
2010 .12
[특집 - 역사용어 바로 쓰기] 친일과 협력
역사비평
2005 .11
[문화로 역사 읽기 2] 영화로 보는 우리 역사 ③ <집 없는 천사>와 친일 - 계몽을 가장한 자발적 친일
내일을 여는 역사
2005 .06
중국 '친일문학' 연구의 시각과 쟁점(1)
중국어문학
2006 .01
쟁점-친일 문제에 대한 합리적 접근
철학과 현실
2002 .06
춘원의 친일문학 연구
비평문학
1994 .09
친일과 시민연대의 간극
황해문화
2005 .06
Helen Kim as New Woman and Collaborator :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Korean Collaboratio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7 .02
한국 개신교의 ‘친일 청산’
복음과 실천
2012 .04
친일문인과 문학상
문학들
2017 .08
친일 미술의 상처와 문화적 치유
내일을 여는 역사
2006 .12
특별연구 불교계의 친일인맥
역사비평
1993 .08
친일협력정권인 “라우렐공화국”과 전후 친일엘리트 처리문제
인문과학연구
2010 .03
최정희 친일문학의 특수성 연구 - ‘민족’과 ‘여성’의 기표 사이에서
현대소설연구
2020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