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천만` 관객 영화와 대중
자기수렴적 전략
승리에 대한 대리만족
세월호를 잊게 만드는 승리서사
〈국제시장〉, 순수성이 보여주는 정치적 공백
덕수의 평범성과 역사적 특수성
교훈과 책임의 문제
현실의 파국, 영화적 유토피아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관객
자음과모음
2022 .06
영화 수용과 지배욕망: 트위터, 영화리뷰에 대한 정신분석적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명량> 수용 분석
비평과이론
2017 .01
[영화를 읽다] 잘 지내고 계신가요?
월간에세이
2022 .03
[영화를 읽다] 해는 졌지만, 나는 지지 않았다
월간에세이
2022 .01
[영화를 읽다-10회] 나는 좀 살아야겠다
월간에세이
2022 .10
[영화를 읽다-19회] 굽이굽이 돌아도 멈추지 않는다
월간에세이
2023 .06
체홉과 영화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6 .10
영화를 찍다
수필미학
2016 .12
케빈 파이기 : “우리의 영화는 관객의 기대를 넘어서는 것이다”
인물과사상
2017 .12
[영화를 읽다-3회] 영화 속 가장 기이했던 이미지
월간에세이
2023 .11
중국영화시장 발전과 21세기 영화시장 변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 -국내, 중화권, 글로벌 영화시장을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2022 .03
플랫폼은 영화 다양성을 살릴까? : 코로나19로 초래된 영화시장의 플랫폼 변화와 영화 다양성 증진을 위한 법적 접근
황해문화
2020 .09
한·중 영화 교류의 역사와 미래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6 .11
[영화: ‘PAPER스러운’ 영화를 소개합니다] 타자 치는 스누피가 선별한 네 편의 ‘PAPER스러운’ 영화
PAPER
2020 .12
[영화를 읽다] <우리들>
유레카
2016 .11
[영화를 읽다-5회] 꿈꾸는 존재이기에 쓸 수 있는 것들
월간에세이
2024 .01
스마트미디어 시대 팬덤과 영화문화 - 여성관객 네트워크와 수행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21 .12
상상의 모양, 영화적인 것과 영화적 세계 사이 (영화의 탈매체성 연구)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8 .10
[작품읽기] 나쁜 영화 외
수필미학
2022 .09
한국과 프랑스의 배급 상영시장 비교 연구 : 대형 영화 배급 상영의 문제와 대안
동서인문학
2018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