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0.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Ⅰ. 라마르크 진화론의 부활?
Ⅱ. 생물학의 새로운 혁명 : 후성유전학 시대의 도래
Ⅲ. 후성유전학과 변화하는 진화론
Ⅳ. 후성유전학적 현상에 대한 창조론적 조망
Ⅴ. 유전자 중심 세계관에서 통합적 세계관으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자유의지에 대한 과학적 증명, 그 의미와 한계 -후성유전학을 둘러싼 철학적 논의를 중심으로
대동철학
2017 .12
라마르크주의 환경개념의 역사 : 라마르크와 19세기 진화론 논쟁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2016 .08
유전자 변화 없는 형질의 변화, 진화의 다른 작동방식인가? 생명체에 주어진 본질적 특성인가?
창조론오픈포럼
2020 .08
An Epigenetic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Fricatives
영어영문학연구
2016 .01
“한민족의 뿌리”를 말하는 의사들: 의학 유전학과 한국인 기원론, 1975-1987
의사학
2019 .08
유아의 뇌 발달과 발음습득
언어학 연구
2015 .01
생명 진화불가능성에 대한 소고
창조론오픈포럼
2019 .07
유전자 중심적 진화론에 대한 의문 : 확장된 진화종합이론의 등장에 대한 기독교 철학적 단상
창조론오픈포럼
2020 .02
과학사의 사회적 이용과 유전학의 사회적 이용 사이에서
한국과학사학회지
2017 .01
[서평] 초파리 유전학으로 바라보는 두 생물학과 한국 기초과학의 지평 :김우재 저 《플라이룸》
문명과 경계
2020 .12
로렌 그레이엄(이종식 역), 『리센코의 망령』 (동아시아, 2021)
서양사론
2022 .03
名詞に接続する形式名詞「すえ」の意味と機能 : 明治期と現代との用例比較を通じて
일본연구
2015 .08
진화와 목적에 관한 소고 -맥그래스의 기포드 강연의 보충
신학과 사회
2021 .01
공립학교에서의 창조론 교육에 대한 ‘창조 대 진화’ 법정 논쟁 및 그 함의
Origin Research Journal
2024 .10
개인의 유전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행복한 부자연구
2017 .06
19세기 프랑스의 다윈주의 수용
역사학연구
2017 .08
진화론의 철학적 유형분석과 한 · 중 · 일 동아시아 수용의 경로
현대소설연구
2021 .12
98.5%라는 착각 : 인간과 침팬지의 유전학적 차이의 비교
창조론오픈포럼
2017 .03
진화심리학에 대한 제언
철학∙사상∙문화
2021 .11
트랜스유라시아어의 기원과 확산 - 동북공정에 반하는 10개국의 언어학·고고학·유전학 교차 연구
유라시아문화
2022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