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Jae Yong Shin (서울대학교) Sewon Kwon (서울대학교) Jeong-Hoon Hyun (NEOMA Business School) Natalie Kyung Won Kim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경영학연구 제46권 제4호
발행연도
2017.8
수록면
1,097 - 1,124 (28page)
DOI
10.17287/kmr.2017.46.4.109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많은 사람들은 종종 재벌 회사의 사외 이사의 독립성과 효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상법상 이사회의 50% 이상(자산총액 2조 이상 기업)을 사외이사로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은 상당수의 이사를 사외이사로 채워야 한다. 그러나 어떠한 사외이사를 선임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미래 성과와 여러 경영 정책이 달라질 수 있다.
중앙일보가 2012년에 보도한 기사에 따르면 교수들이 한국 상위 10대기업 이사진의 3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교수들은 한국 사회에서 전통적으로 독립적이고 전문성이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사외이사로 적합한 후보군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교수-사외이사들이 사외이사로서 효과적으로 경영진을 감시하고 자문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미국에서 소수의 연구자들이 교수-사외이사의 역할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교수-사외이사가 기업경영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 일관된 결론을 도출하지 못하였다 (White et al., 2014; Francis et al., 2015). 기업지배구조가 중요한 이슈인 한국의 재벌기업을 중심으로 교수-사외이사가 기업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공헌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사외이사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교수-사외이사를 선임하는 기업의 특징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교수-사외이사의 경영진 감시기능을 성과-경영진 교체 민감도, 성과-경영진보수 민감도 및 이익조정행태를 이용해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결과, 교수-사외이사는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교수-사외이사가 있는 기업들의 경우 성과-경영진 교체 민감도와 성과-경영진보수 민감도가 높지 않고, 이익조정을 감시하는데 취약한 점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본 연구의 실증결과에 따르면 교수-사외이사가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큰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and Hypothesis Development
Ⅲ. Sample and Variables
Ⅳ. Research Design and Empirical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요약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