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는 말
Ⅱ. 감염병 위기와 국가의 대응
Ⅲ. 정보인권과 감염환자 개인정보 활용의 법적 근거
Ⅳ. 감염병환자 동선 공개·추적의 헌법적 정당성 검토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Summary
헌법재판소 2003. 12. 18. 선고 2001헌마543 전원재판부
가.요양급여비용의 액수를 인하하는 조치를 내용상 포함한 이 사건 개정고시에 의하여 그 직접적인 수규자가 이에 상응한 수입감소의 불이익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요양기관 피고용자인 청구인들도, 동인들이 의사로 근무하고 있는 이상, 유사한 정도의 직업적 불이익을 받게 된다. 이 사건 개정고시는 의사로서 전문적 의료행위를 제공한 데 대한 대가인 진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9. 9. 21. 선고 97누5114 판결
[1] 국민의 알 권리, 특히 국가정보에의 접근의 권리는 우리 헌법상 기본적으로 표현의 자유와 관련하여 인정되는 것으로 그 권리의 내용에는 일반 국민 누구나 국가에 대하여 보유·관리하고 있는 정보의 공개를 청구할 수 있는 이른바 일반적인 정보공개청구권이 포함되고, 이 청구권은 공공기관의정보공개에관한법률이 1998. 1. 1. 시행되기 전에는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6. 2. 29. 선고 94헌마213 전원재판부
가. 법률(法律) 또는 법률조항(法律條項) 자체가 헌법소원(憲法訴願)의 대상이 될 수 있으려면 구체적인 집행행위(執行行爲)를 기다리지 아니하고 그 법률(法律) 또는 법률조항(法律條項)에 의하여 직접(直接), 현재(現在), 자기(自己)의 기본권(基本權)을 침해(侵害)받아야 하는바, 위에서 말하는 집행행위(執行行爲)에는 입법행위(立法行爲)도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5. 5. 26. 선고 99헌마513,2004헌마190(병합) 전원재판부
가.이 사건 심판대상조항과 행위 중 본안판단의 대상이 되는 것은 주민등록법시행령 제33조 제2항에 의한 별지 제30호서식 중 열 손가락의 회전지문과 평면지문을 날인하도록 한 부분(이하 `이 사건 시행령조항`이라 한다)과 경찰청장이 청구인들의 주민등록증발급신청서에 날인되어 있는 지문정보를 보관·전산화하고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5. 7. 21. 선고 2003헌마282,425(병합) 전원재판부
가.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제한함에 있어서는 개인정보의 수집·보관·이용 등의 주체, 목적, 대상 및 범위 등을 법률에 구체적으로 규정함으로써 그 법률적 근거를 보다 명확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개인정보의 종류와 성격, 정보처리의 방식과 내용 등에 따라 수권법률의 명확성 요구의 정도는 달라진다 할 것인바, 피청구인 서울특별시 교육감과 교육인적자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2. 12. 27. 선고 2010헌마153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녹음행위는 교정시설 내의 안전과 질서유지에 기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이 정당할 뿐 아니라 수단이 적절하다. 또한, 소장은 미리 접견내용의 녹음 사실 등을 고지하며, 접견기록물의 엄격한 관리를 위한 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어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침해의 최소성 요건도 갖추었고, 이 사건 녹음행위는 미리 고지되어 청구인의 접견내용은 사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감염병 위기 시 정보공개 후 감염병 환자에 대한 인격권 침해와 피해 구제에 관한 고찰
미디어와 인격권
2021 .08
감염병예방법에 관한 인권적 측면에서의 검토
인권법평론
2021 .01
감염병, 개인정보 데이터 그리고 개인정보자기결정권 -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개인정보 데이터의 수집·활용·공개와 그 한계를 중심으로 -
법학평론
2022 .04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내용과 개선방안
법학연구
2020 .09
해외 감염병재난 대응체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대응규정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2020 .01
감염병 바로 알기
연구보고서
2022 .12
감염병예방법 상 감염병의심자 정보 제공 요청제도의 헌법적 문제점
법학논총
2021 .01
감염병환자 개인위치정보자기결정권의 침해위험성 증대에 따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범죄수사학연구
2020 .06
감염병 확산행위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에관한 고찰
원광법학
2021 .09
우리나라 감염병 위기 대응 법제와 사회보장
사회보장법학
2024 .1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 및 방역 과정에서의 위치정보 활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이론실무연구
2020 .11
코로나19 시대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보호 – 감염병 예방법상의 개인위치정보 공개규정을 중심으로 –
헌법학연구
2021 .01
실효적인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형사정책 대응방안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5 .10
감염병 대응에 따른 개인정보의 공개와 보호
영남법학
2020 .01
코로나19 시대의 개인정보보호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감염병예방법과 개인정보보호법 중심으로 -
법학연구
2021 .03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언론과법
2016 .12
감염병 발생과 노인복지시설의 대응 현황 및 과제
장기요양연구
2021 .01
코로나 바이러스 극복대책 실행 시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비판적 논의
법학연구
2020 .11
감염병 관리체계의 효율화에 관한 연구 - 지역감염병 관리체계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보
2020 .01
보건안보 위협에 따른 군 대응방안 연구: 감염병을 중심으로
국방정책연구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