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초록
1. 서론
2. 한국인의 주요 전염병
3. 주요 전염병 ‘장티푸스, 말라리아, 한센병’ 명칭의 변천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임진왜란기 조선 수군 진영 전염병의 발생 실태와 영향
군사연구
2017 .01
한국 사회의 전염병 관련 표현에 대한 언어문화 연구: 사전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2022 .12
2000년대 글로벌 전염병 거버넌스의 변화 : 글로벌 보건 안보의 대두와 국내 전염병 관리 체계의 변화
의사학
2016 .12
한약업사의 전염병 인식에 대한 일고찰
민속학연구
2022 .06
전염병의 공포에서 벗어나는 법
창비어린이
2020 .03
기후 전염병의 심벌: 말라리아
타우마제인
2024 .09
환경전염병의 위기와 한국시의 대응양상
문학과환경
2020 .12
한국 전염병 감시체계의 흐름에 관한 연구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
인문학연구
2019 .01
한의학 병명의 현상학 : 인류학적, 현상학적 접근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5 .12
〈장석전〉에 나타난 전염병과 활인(活人)의 의미
어문학
2023 .03
한국고대 질병연구의 궤적과 과제
한국고대사연구
2021 .06
일제강점기 경남 밀양군 이병곤李炳鯤의 질병과 한의학 치료 —『퇴수재일기退修齋日記』(1906~1948)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3 .03
방역에서 강제와 협조의 조화? - 식민지 시기를 중심으로
역사비평
2020 .05
일제시기 한의학 교육과 전통 한의학의 변모 : 한의학 강습소를 중심으로
의사학
2018 .04
‘한의학’, ‘한약’, ‘한의사’에 대한 인식 연구 - 네이버 뉴스 말뭉치를 중심으로 -
동아인문학
2024 .12
19세기말 20세기 초 영국 열대의학과 식민지 도시위생
도시연구
2017 .10
신소설에 비친 개화기 의료의 모습
역사연구
2018 .12
개항기 조선에서 근대적 위생문화의 수용
한일관계사연구
2015 .12
라이프스타일의학의 관점에서 본 불교
동아시아불교문화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