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조현경 (영남대학교) 서지은 (영남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논문집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32권 제3호
발행연도
2021.6
수록면
173 - 180 (8page)
DOI
10.6107/JKHA.2021.32.3.17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use of interior applications has increased as interest in self-interiors has increased due to the recent surge i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Corona. However, due to its insufficient function and use, its usability and satisfaction are low. Therefore, it is intended to extract, analyze and evaluate functional elements and standards of interior applications to satisfy users. The research method extracts functional elements through prior research to derive their characteristics and criteria and analyzes five interior applications based on the derived criteria. According to the analysis, (A) was checking the user interest area at the start of the app, (B) was providing related images according to theme-specific categories, (C) was able to color-adjust objects and shadow objects through VR, and (E) was able to utilize both VR and AR for more furniture implementation. Therefore, we hope that applications that can utilize both 3D functions as well as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images will be developed, and that functional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enable many appications.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분석틀 설정
IV. 인테리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성 분석
V.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