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탈식민주의와 문학교육
2. 식민주체 형성과 정체성
3. 모방 담론과 탈식민주의 전략
4. 탈식민적 주체와 사유의 지식인
5.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상상된 유토피아로서의 ‘1975년 체제’ - 최인훈의 『태풍』(1973)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24 .06
최인훈의 《서유기》에 나타난 탈식민주의적 전망
동아인문학
2020 .03
식민담론 하의 주체 정립 최인훈의 회색인』을 중심으로
영주어문
2019 .01
역사적 죽음을 현재화하는 글쓰기 - 최인훈의 「바다의 편지」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2015 .01
강박으로서의 식민(지), 금기로서의 제국을 넘어
비교한국학
2016 .01
독자로서의 작가 : 최인훈 『화두』의 문학독서 현상학
현대소설연구
2018 .09
후기ㆍ식민지에서 소설의 운명 : 최인훈의 고전 서사 장르 전유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04
탈식민주의와 한국의 역할
한국학연구
2023 .09
최인훈의 문학과 방법론으로서의 풍속
한국현대문학연구
2019 .12
‘선택’과 서사의 의미-최인훈의 『화두』와 관련한 몇 가지 사실들-
우리문학연구
2023 .10
최인훈의 문명론과 문학예술론을 통해 본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구
어문논집
2021 .12
제국주의에 대한 이중적 시선 -최인훈의 「두만강」과 「크리스마스 캐럴」을 중심으로
춘원연구학보
2020 .04
최인훈 문학의 기원과 진화론적 상상력
서강인문논총
2019 .12
‘현대의 신화’와 ‘회색인’의 사유 -최인훈의 단편소설 「라울전」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2 .06
최인훈 초기 소설의 주체와 여성표상 연구
우리어문연구
2015 .01
일제강점초기 초등지리 교육 고찰 : 조선총독부편찬 일본어 · 지리교과서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18 .02
해방 직후 초등 문학교육 담론의 형성과 특성
문학교육학
2018 .01
최인훈의 ‘환상’ 개념과 서구환상문학론 비교 - 최인훈의 ‘환상론’ 연구를 위한 예비적 단계의 검토
현대소설연구
2022 .03
최인훈 소설의 연구사 연구
어문논총
201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