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SF서사가 던지는 질문
Ⅱ. 포스트 바디, 정상성의 해체
Ⅲ. 죽음의 지연, 타자에 대한 이해
Ⅳ. 포스트 릴레이션, 인정과 공감
Ⅴ. 나오며: ‘작은 가능성’을 향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김초엽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머니즘과 장애
여성문학연구
2021 .12
김초엽의 SF에 나타난 새로운 존재론의 모색
비교한국학
2022 .04
포스트휴먼으로서의 여성과 테크노페미니즘 —윤이형과 김초엽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020 .01
디지털 게임으로 포스트휴먼 상상하기 : 〈니어: 오토마타〉에서 나타나는 포스트게임성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17 .12
포스트휴먼 되기의 기술 : ‘포스트휴먼’은 무엇이 될 수 있는가?
문화과학
2024 .12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사회정의론: 임마누엘 레비나스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윤리연구
2018 .01
교양교육의 주제론으로서 포스트휴먼과 그 서사적 함의 - SF 고전과 현대 문학작품의 신토피칼 접근
이화어문논집
2021 .08
인공지능 시대, 포스트 휴먼적 상상력과 인간 탐구 - 김영하의 『작별인사』와 이혁진의 『단단하고 녹슬지 않는』을 중심으로 -
어문론집
2025 .03
한·중 SF에 나타난 포스트휴머니즘 비교 연구 ― 김초엽과 하오징팡(郝景芳)을 중심으로
국제한인문학연구
2024 .04
서구의 기술담론을 재맥락화하는 한국 SF의 문학적 실험 : 김초엽의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중심으로
스토리앤이미지텔링
2024 .12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 지위에 대한 고찰
환경철학
2017 .06
포스트휴먼 시대, 새로운 몸의 가능성
창비어린이
2021 .09
탈육화의 역사: 포스트 코로나에서 포스트휴먼으로
지식의 지평
2020 .10
김초엽 SF에 나타난 물질로서의 몸과 생태적 상상력 -「늪지의 소년」, 「오염구역」, 「오래된 협약」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2023 .11
한국여성 SF에 나타난 신체기술과 지구공동체—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2022 .12
포스트휴먼의 사회윤리적 방향-제3세계 신학의 관점에서
기독교사회윤리
2022 .08
제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 사회
철학과 현실
2017 .03
중한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가이드라인에 관한 예비연구: 포스트에디팅 교육을 위한 가이드라인
중국언어연구
2022 .04
포스트 시대의 문학지
자음과모음
2019 .03
포스트 휴먼 신체와 공생의 거주하기 -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 휴먼이 되었는가? -
시대와 철학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