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황주은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지도교수
양성병
발행연도
2020
저작권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86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5G,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등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IT와 외식산업이 융합된 다양한 형태의 푸드테크(FoodTech)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푸드테크 활성화의 예로 외식업계에 빠르게 적용되고 있는 로봇(서빙 로봇, 쉐프 로봇, 바리스타 로봇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업계의 많은 관심에 비해, 관련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더욱 다양해짐에 따라 상징성이나 감정적 편익에 의한 구매의사결정이 형성되고 있다. 색다른 즐거움을 위해 기술이 사용되고 체험 콘텐츠로서 가치가 높은 로봇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O-R(Stimulus-Organism-Response) 프레임워크, 푸드테크 및 로봇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로봇바리스타 카페 맥락에서 서비스스케이프 특성이 사용자의 즐거움과 만족, 나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해 보고자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서비스스케이프 특성을 구성하는 기술적 요인의 두 가지 차원(일관성, 효율성)과 디자인적 요인의 두 가지 차원(심미성, 혁신성)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요인들이 즐거움, 만족, 그리고 행동의도의 두 가지 차원(재방문의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영향이 카페 라이프스타일(편의추구형, 유행선도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추가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실증 분석을 위해 로봇바리스타 카페를 적어도 1회 이상 방문한 경험이 있는 국내 거주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 분석에는 총 280부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IBM SPSS Statistics 25와 SmartPLS 2.0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의 기술적 통계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 그리고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로봇바리스타 카페의 기술적 요인인 일관성과 효율성, 디자인적 요인인 혁신성의 경우, 즐거움과 만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디자인적 요인의 심미성은 즐거움에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즐거움은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즐거움과 만족 모두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카페 라이프스타일(편의추구형 및 유행선도형)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효율성이 즐거움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편의추구형 그룹에서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S-O-R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로봇바리스타 카페의 맥락에서 서비스스케이프 특성이 소비자의 즐거움과 만족 및 행동의도(재방문의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과 카페 라이프스타일의 조절효과를 추가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이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로봇을 활용한 외식업 마케팅 담당자, 창업자 및 운영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구체적으로 로봇바리스타 카페의 어떠한 서비스스케이프적 특성을 좀 더 강조해야 할지와 카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통해 새로운 소비자 유입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ⅴ
I.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
제1절 푸드테크 5
1. 외식업에서의 로봇도입
제2절 S-O-R 프레임워크(Stimulus-Organism-Response Framework) 8
제3절 자극(Stimulus) 11
1. 서비스스케이프
제4절 유기체(Organism) 15
1. 즐거움 15
2. 만족 16
제5절 반응(Response) 17
1. 재방문의도 17
2. 구전의도 18
제6절 카페 라이프스타일 19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21
제1절 연구모형의 설정 21
제2절 연구가설의 설정 22
Ⅳ. 연구방법 28
제1절 자료수집 28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3
V. 연구결과 37
제1절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37
제2절 가설검증 및 토의 40
제3절 조절효과 분석 43
Ⅵ. 결 론 47
제1절 연구의 결과 및 의의 47
제2절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 49
제3절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 50
제4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51
참 고 문 헌 52
부 록 74
국문초록 79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