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는 말
2. 일련의 조치와 정책들
3. 1971~73년: 탈정치화된 경제적 동원기제의 완성과 유신
4. 맺음말
주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박정희 시대 한국의 경제발전과 아시아적 가치
학술대회
2005 .12
동원 외 1편
문학들
2018 .02
박정희 유신체제는 왜 7년 만에 붕괴되었나
내일을 여는 역사
2012 .12
박정희 시대 전통의 재창조와 통치체제의 확립
동방학지
2010 .01
1970년대 한국가정의 경제생활
역사연구
2019 .12
‘박정희 신화’라는 꿈에 접근하는 한 가지 방법 : 1960년대 한국의 통치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18 .12
박정희 시대의 민주화 운동
학술대회
2005 .12
학교를 덮친 '전시체제', 동원되는 학생
내일을 여는 역사
2013 .03
동원전력사령부 창설이 지상전에 미치는 함의 연구
군사연구
2020 .01
개발동원체제론 우리 안의 보편성과 특수성-『동원된 근대화』의 성취, 공백, 실패
역사비평
2010 .05
북한의 민간자원 동원정책과 일상적 동원체제의 형성(1945~1953)
한국사연구
2016 .12
1970년대 초중반 두 차례의 경제위기와 박정희정부의 대응
한국사학보
2010 .02
박정희 정부의 경제정책 : 양날의 칼의 정치경제학
역사와현실
2009 .12
선택받지 못한 박정희의 선택, 「유신과 중화학공업: 박정희의 양날이 선택」 - 김형아, 일조각, 2005
역사비평
2008 .05
자유주의, 사회민주주의, 파시즘:30년대 유럽정치경제체제의 역사적 기원
계간 사상
1993 .06
특집 : 유신체제와 긴급조치세대 유신체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역사비평
1995 .08
손창섭의 『길』이 제기하는 몇 가지 문제들
세계문학비교연구
2014 .01
[특집] 한국전쟁 전후(前後) 동원행정의 반민중성 - 군사동원과 노무동원을 중심으로 -
역사연구
2003 .06
Park Chung Hee’s Leadership and Korea’s Modernization : A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
학술대회
2005 .12
박정희 시기 남북화해 원인에 관한 연구
학술대회
200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