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의 해악성과 비참한 결과는 그 누구도 반론을 제기할 수 없는 현실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더 나쁜 악을 피하기 위해 필요하기도 하지만 전쟁은 항상 악한 것이며, 탐욕과 욕망 그리고 권력욕과 같은 죄 많은 인간의 지속적인 갈망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도 전쟁의 해악을 지적하지만 동시에 의로운 전쟁 이론을 주장한다. 이 이론은 인간의 명령 하에 이루어지는 전쟁과 하느님의 명령 하에 이루어지는 전쟁이라는 두 측면으로 구성된다. 전자는 방어 전쟁으로 나타나며, 정당한 이유와 합법적 권위 그리고 올바른 원의라는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반해 후자는 공격 전쟁의 모습으로 등장하며, 하느님이 최고의 합법적 권위이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의로운 전쟁이다. 또한 이 전쟁에 참여하는 이들은 하느님의 계획을 수행하는 사람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전쟁의 예를 아우구스티누스는 특별히 모세가 수행한 전쟁들로 제시한다. 하느님이 그러한 전쟁을 명하는 것은 종교적 교육뿐 아니라 심판과 교정을 위한 것이다. 더욱이 구약에 등장하는 의로운 전쟁이 하느님이 약속한 땅으로 가는 여정 중에 이루어진 것이라면, 이는 신약에서 그리스도인의 목적지가 천상 도성임을 예형으로 드러낸 것이다. 또한 하느님의 명령에 따라 수행된 의로운 전쟁이 불의함에 대한 응징과 평화의 회복을 목적으로 한 것이라면, 이 평화 역시 이 세상에서의 평화만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영원한 평화, 곧 천상도성에서 누리게 될 평화를 지향해야 한다는 것을 드러낸다. 따라서 중세 사상가들이 성전에 대한 자신들의 주장을 아우구스티누스의 구약 성경 주석에 의지하고 있지만, 의로운 전쟁 이론을 내세운 아우구스티누스를 중세중기에 두드러진 성전(聖戰) 사상의 대변자로 볼 수 없다. 비록 십자군이나 성전(聖戰)을 아우구스티누스의 의로운 전쟁 이론이 열어 놓았다고 할 수 있겠지만, 하느님의 권위와 순명이라는 두 축을 통해 아우구스티누스가 제시하고자 했던 것은 평화와 사랑이었다.
The harmfulness and tragic result of war is reality, against which anyone cannot make a counter argument. In some cases, war is necessary to avoid worse vice, but wars are always vicious, breaking out due to greed and desire, as well as hunger for power, ceaselessly driven by sinful human beings. St. Augustine pointed out the harmful and destructive power of wars, but at the same time insisted on the theory of a just war. This theory consists of two sides: one is the war conducted by the order of humans, and the other, by the order of God. The former emerges as a defensive war, composed of reasonable reasons, lawful authority and a just cause. In contrast, the latter emerges as the war of attack, which is an absolutely just war because God is the most supreme lawful authority. Also, those who participate in this war are regarded as the people who carry out God’s plan. As an example of such war, Augustine presents the wars conducted by Moses. The reason God orders such wars is not only for religious education but as punishment and correction. Furthermore, if the just wars in the Old Testament were conducted during the people’s journey to the promised land of God, it was to typologically reveal in the New Testament that the destination of Christians is the City of God. Also, if just wars carried out by the order of God aimed at revenge on injustice, as well as to recover peace, it reveals that this peace should be intended not only for the peace of this world, but ultimately for eternal peace, that is, peace to be cherished in the City of God. Therefore, even though thinkers of Middle Ages rely on Augustine’s annotations of the Old Testament for their assertions on a holy war, he cannot be regarded as the outstanding spokesman for holy war thinkers during the middle of the Middle Ages. It can be said that the theory of just wars by Augustine opened the way for the Crusades or holy wars; however, what he intended to present through the two axles of God’s authority and obedience to Him were peace and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