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논의의 배경
Ⅲ. M&A 이행보증금 관련 주요 판례 검토
Ⅳ. 판례로 본 구분 기준과 검토의견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대법원 2008. 11. 13. 선고 2008다46906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9. 28. 선고 2001다14689 판결
[1] 도급계약서 및 그 계약내용에 편입된 약관에 수급인이 하자담보책임 기간 중 도급인으로부터 하자보수 요구를 받고 이에 불응한 경우 하자보수보증금은 도급인에게 귀속한다는 조항이 있을 때 이 하자보수보증금이 손해배상액의 예정인지 위약벌인지는 도급계약서 및 위 약관 등을 종합하여 구체적 사건에서 개별적으로 결정할 의사해석의 문제이고, 위약금은
자세히 보기서울중앙지방법원 2013. 7. 25. 선고 2011가합123150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0. 12. 8. 선고 2000다50350 판결
[1]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액의 예정이 있는 경우에는 채권자는 채무불이행 사실만 증명하면 손해의 발생 및 그 액을 증명하지 아니하고 예정배상액을 청구할 수 있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3. 3. 23. 선고 92다46905 판결
가. 위약벌의 약정은 채무의 이행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해지는 것으로서 손해배상의 예정과는 그 내용이 다르므로 손해배상의 예정에 관한 민법 제398조 제2항을 유추 적용하여 그 액을 감액할 수는 없고 다만 그 의무의 강제에 의하여 얻어지는 채권자의 이익에 비하여 약정된 벌이 과도하게 무거울 때에는 그 일부 또는 전부가 공서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7. 9. 선고 2009다9034 판결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12. 6. 14. 선고 2011나26010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6. 3. 24. 선고 2014다3115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1. 19. 선고 2000다42632 판결
[1] 도급계약서 및 그 계약내용에 편입된 약관에 수급인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계약이 해제된 경우에는 계약보증금이 도급인에게 귀속한다는 조항이 있을 때 이 계약보증금이 손해배상액의 예정인지 위약벌인지는 도급계약서 및 위 약관 등을 종합하여 구체적 사건에서 개별적으로 결정할 의사해석의 문제이고, 위약금은 민법 제398조 제4항에 의하여 손해배상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3. 10. 26. 선고 93다3103 판결
계약당사자간에 어떠한 계약내용을 처분문서인 서면으로 작성한 경우 그 문언의 객관적인 의미가 명확하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문언대로의 의사표시의 존재와 내용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지만, 그 문언의 객관적인 의미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경우에는 당사자의 내심적 의사의 여하에 관계없이 그 문언의 내용과 그 계약이 이루어지게 된 동기 및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2. 5. 24. 선고 2000다72572 판결
[1] 계약당사자 사이에 어떠한 계약내용을 처분문서인 서면으로 작성한 경우에 문언의 객관적인 의미가 명확하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문언대로의 의사표시의 존재와 내용을 인정하여야 하지만, 그 문언의 객관적인 의미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경우에는 그 문언의 내용과 계약이 이루어지게 된 동기 및 경위, 당사자가 계약에 의하여 달성하려고 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8. 2. 14. 선고 2006다18969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7. 10. 25. 선고 2007다40765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1. 4. 26. 선고 90다6880 판결
외국산 옥수수 공급계약에 있어 공급자가 제공한 계약이행보증금이 공급자에게 계약이행을 강제하기 위하여 공급자가 계약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 이를 몰수하고 계약이 이행된 경우 이를 반환하는 것이어서 위약벌 또는 제재금의 성질을 가진다고 본 사례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12. 3. 29. 선고 2011나21169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2. 2. 5. 선고 2001다62091 판결
전세권설정자는 전세권이 소멸한 경우 전세권자로부터 그 목적물의 인도 및 전세권설정등기의 말소등기에 필요한 서류의 교부를 받는 동시에 전세금을 반환할 의무가 있을 뿐이므로, 전세권자가 그 목적물을 인도하였다고 하더라도 전세권설정등기의 말소등기에 필요한 서류를 교부하거나 그 이행의 제공을 하지 아니하는 이상, 전세권설정자는 전세금의 반환을 거부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3. 4. 23. 선고 92다41719 판결
가. 민법 제398조에서 손해배상액의 예정에 관하여 규정한 목적은 손해의 발생사실과 손해액에 대한 입증의 곤란을 덜고 분쟁의 발생을 미리 방지하여 법률관계를 쉽게 해결할 뿐 아니라 채무자에게 심리적 경고를 함으로써 채무의 이행을 확보하려는 것이고, 한편 제2항에 규정된 손해배상예정액의 감액제도는 국가가 계약 당사자들 사이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0. 12. 8. 선고 2000다35771 판결
[1] 도급계약서 및 그 계약내용에 편입된 약관에 수급인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계약이 해제된 경우에는 계약보증금이 도급인에게 귀속한다는 조항이 있을 때 이 계약보증금이 손해배상액의 예정인지 위약벌인지는 도급계약서 및 위 약관 등을 종합하여 구체적 사건에서 개별적으로 결정할 의사해석의 문제이고, 위약금은 민법 제398조 제4항에 의하여 손해배상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4. 12. 10. 선고 2002다73852 판결
[1] 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의 규정은 국가와 사인 간의 계약관계에서 관계 공무원이 지켜야 할 계약사무 처리에 관한 필요한 사항을 정한 국가의 내부규정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위 법이 적용되는 계약도 그 본질은 사인 간의 계약과 다를 바가 없으므로, 그 법령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법의 규정 내지 법 원리가 그대로 적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1. 3. 27. 선고 90다14478 판결
가. 민법 제398조 제2항에 의하여 법원이 예정액을 감액할 수 있는 “부당히 과다한 경우”라 함은 손해가 없다든가 손해액이 예정액보다 적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계약자의 경제적 지위, 계약의 목적, 손해배상액예정의 경위 및 거래관행 기타 제반사정을 고려하여 그와 같은 예정액의 지급이 경제적 약자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6. 7. 14. 선고 2012다65973 판결
[1] 위약금은 민법 제398조 제4항에 의하여 손해배상액의 예정으로 추정되므로, 위약금이 위약벌로 해석되기 위해서는 특별한 사정이 주장·증명되어야 하며, 계약을 체결할 당시 위약금과 관련하여 사용하고 있는 명칭이나 문구뿐만 아니라 계약 당사자의 경제적 지위, 계약 체결의 경위와 내용, 위약금 약정을 하게 된 경위와 교섭과정, 당사자가 위약금을 약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4. 11. 선고 2011다112032 판결
다수의 전기수용가와 사이에 체결되는 전기공급계약에 적용되는 약관 등에, 계약종별 외의 용도로 전기를 사용하면 그로 인한 전기요금 면탈금액의 2배에 해당하는 위약금을 부과한다고 되어 있지만, 그와 별도로 면탈한 전기요금 자체 또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은 없고 면탈금액에 대해서만 부가가치세 상당을 가산하도록 되어 있는 등의 사정이 있는 경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6. 7. 14. 선고 2013다82944(본소), 2013다82951(반소) 판결
[1] 방위사업법 제58조는 방위사업청장은 방위산업체 등이 허위 그 밖에 부정한 내용의 원가계산자료를 정부에 제출하여 부당이득을 얻은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부당이득금과 부당이득금에 상당하는 가산금을 환수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방위사업청이 일반물자나 방산물자 등의 구매계약에 편입하기 위하여 계약의 형태별로 정해둔 계약특수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동학개미 떨게 한 삼성 파운드리 분사說_증권가 ‘뜨거운 감자’…WHY & WHEN
매경이코노미
2022 .07
Q&A 特許法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8 .12
M&A 거래에 있어서 스마트계약의 활용 가능성
동아법학
2019 .08
최근 M&A 관련 동향과 기업승계 : 19대 국회 입법안을 중심으로
기업법연구
2015 .12
서울시R&D 육성전략과 특성화방안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2015 .11
중소기업 R&D 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2023 .12
기업 R&D 활성화를 위한 정부 재정지원 방안과 법적 근거에 대한 고찰
법과기업연구
2020 .04
R&D 스톡의 시차와 기간간 연속성을 고려한 정부 R&D 효율성 측정: Dynamic DEA 모형의 적용
사회과학연구
2019 .10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효과성과 시사점
월간 KIET 산업경제
2023 .01
R&D 생산정 제고와 기술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연구 서비스산업 혁신 방안
서비스 연구
2023 .03
과학영재 학생창의연구(R&E) 사업의 정책집행 분석 : R&E 담당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017 .12
민간기업의 R&D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
국제회계연구
2019 .06
R&D 투자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공공 R&D 투자와 민간 R&D 투자의 비교
산업연구(JIET)
2022 .06
중소기업 R&D활동이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부R&D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2015 .06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공공서비스 개발 프레임워크 연구: 사회문제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성과관리 체계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2019 .09
산업분류별 연구개발의 특허성과 시차분석에 관한 연구 -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지식재산연구
2022 .09
팀 내외 지식공유가 R&D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연구개발단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2018 .01
Analysis for R&D Organization Choice in Innovative Firms
Korea and the World Economy
2023 .04
경쟁환경이 연구개발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산업수준요소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2020 .12
기업 R&D를 고려한 정부 R&D 투자가 타인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국제회계연구
2022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