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Introduction
2. Preliminaries
3. Data Collection
4. Data Analysis
5.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Meaning constructions of internet memes in Discourse Viewpoint Space: A case study of the meme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11
Meaning extensions of internet memes: A case study of the ‘If 2020 was a(n) X’ meme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04
현대 패션 밈(meme)에 관한 사례연구
복식문화연구
2020 .01
읽기 밈과 읽기 교육
독서연구
2018 .01
박경리 『토지』변용작품들의 원작 전유 방식 연구
우리문학연구
2018 .04
Hitler Rants Memes: The Influence of Internet Memes on Audience Reception and Cultural Archives
영어권문화연구
2020 .01
인터넷 밈의 언어적 성격 고찰
인문과학연구
2020 .09
中国第三代表情包芻議
중국문화연구
2020 .11
한 · 중 웹소설의 향유방식 전환 - 인터넷 밈의 사례를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24 .08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한국문학논총
2021 .12
인터넷 밈의 이해를 통한 모바일 네이티브 특성 분석 - 인터넷 밈의 생산·소비·재생산의 맥락을 중심으로 -
한국문예비평연구
2024 .03
인터넷 밈의 형성과 특성 연구
국어문학
2023 .03
속담과의 비교를 통한 인터넷 밈의 언어적 특성 연구
인문학연구
2024 .02
Internet memes of different viewpoints : A cognitive semantic study of debate between bodybuilders and crossfitters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11
Корейские мемы в русском интернете : манифестация и интенции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6 .01
밈의 과정철학적 이해
화이트헤드연구
2015 .01
[X-족] 신어에 투영된 2010년대 우리의 삶
인문언어
2020 .01
Teaching Against the Meme: Politics, Argumentation and Engagement in an ESL Classroom in the Philippines
Journal of Asia TEFL
2019 .01
포노 사피엔스 시대의 고전시가 향유방식 탐구 - 한국관광공사 <범 내려온다>를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2021 .01
인터넷 밈과 시각언어학 - 메르켈 밈 사례 분석
독어학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