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터넷 밈의 언어적 성격 고찰
인문과학연구
2020 .09
인터넷 밈의 형성과 특성 연구
국어문학
2023 .03
인터넷 밈의 이해를 통한 모바일 네이티브 특성 분석 - 인터넷 밈의 생산·소비·재생산의 맥락을 중심으로 -
한국문예비평연구
2024 .03
한국 고유한자의 밈 과학적 기제 탐구 : 문자 접촉을 바탕으로
중국조선어문
2018 .01
속담과의 비교를 통한 인터넷 밈의 언어적 특성 연구
인문학연구
2024 .02
밈의 과정철학적 이해
화이트헤드연구
2015 .01
模因论视域下的跨文化交际语用失误及对策研究
인문사회과학연구
2021 .01
독일 인터넷 밈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 ‘코로나19’ 이미지 매크로를 중심으로
독일언어문학
2024 .08
읽기 밈과 읽기 교육
독서연구
2018 .01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한국문학논총
2021 .12
현대 패션 밈(meme)에 관한 사례연구
복식문화연구
2020 .01
팬덤의 수행성 연구 - 인터넷 밈과 시민 참여문화
기호학 연구
2021 .01
[제품을 빛내는 마케팅] 웃음 유발 ‘밈’ 마케팅
유레카
2022 .07
Meaning constructions of internet memes in Discourse Viewpoint Space: A case study of the meme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11
Multimodal meaning construction of internet memes: A case study of the Windmill Noise Cancer meme
담화와인지
2022 .08
세계화와 밈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일 대중음악 교류
일본학보
2022 .05
박경리 『토지』변용작품들의 원작 전유 방식 연구
우리문학연구
2018 .04
한 · 중 웹소설의 향유방식 전환 - 인터넷 밈의 사례를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24 .08
Meaning extensions of internet memes: A case study of the ‘If 2020 was a(n) X’ meme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04
21세기 새로운 예술미학으로서의 메타모더니즘 : 워쇼스키 형제의 영화 『매트릭스』시리즈를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17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