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손원숙 (경북대학교) 유신복 (경북대학교) 신이나 (대구대학교) 노현종 (경북대학교) 박상현 (경북대학교) 김동욱 (경북대학교) 박민애 (경북대학교) 김난옥 (대구대학교) 이빛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신은진 (경북대학교) 박정 (부산교육대학교)
저널정보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교사교육연구 제60권 제4호
발행연도
2021.12
수록면
683 - 698 (16page)
DOI
10.15812/ter.60.4.202112.68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A교육대학교의 교육이념과 인재상에 기반 하여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 및 전문가 검토를 거쳐 해당 대학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평가틀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비검사 문항(총 240개)을 개발하였다. 예비검사를 통하여 본 검사는 총 7개 하위척도, 142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검사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교육대학교 재학생 692명(32.9% 남학생)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Rasch 측정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본 검사 문항의 질을 점검하였다. 먼저 핵심역량별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igher-order CFA)을 실시하였고, 문항 수준에서의 분석을 위해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IRT)에 근거한 1-모수 Rasch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양호한 수준이었고, 핵심역량 CFA 모형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Rasch 모형 적합도, 문항의 난이도 및 응답 범주의 수 역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진단도구가 초등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갖는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5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