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말을 두고 말해본다
중국조선어문
2017 .03
국어교육에서의 언어정체성과 문법 교육의 역할
국어교육연구
2016 .06
<북장로회> 한국 선교부의 초기 한국어교육 연구
人文科學硏究
2017 .01
동남아시아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발전 방안-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2021 .01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전망 - 재미 동포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
언어와 문화
2015 .01
한국어 교육 정책의 이론화를 위한 시론
이중언어학
2016 .01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불안과 한국어교육용 앱(APP) 사용의 관련성 연구
화법연구
2019 .01
The Effects of Language Difference on L2 Learners’ Language Performance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12
국어교육의 북한어 이해 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연구
2015 .06
공공언어 정책과 교육의 괴리 극복 방안
동악어문학
2023 .02
성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경험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한국언어문학
2020 .01
일본어의 복수 표지 ‘-たち’의 사용 범위 확대에 대한 고찰 ―트랜스 동아시아적 예비 분석도 겸하여―
일본문화학보
2023 .02
2012년 학제 개편 이후 북한 국어 교육의 방향성
국어교육연구
2016 .10
원리 중심의 국어 규범 교육 방안 모색
한말연구
2017 .01
과학의 언어에 대한 국어교육적 접근 : 국어 · 과학 융합 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시론
국어교육연구
2015 .06
한국어 교육의 잠재적 학습자에 대한 고찰- 한류 기반 외국인의 실질적인 학습자로의전환 가능성 검토를 중심으로 -
언어와 문화
2015 .01
창의적 문화 세대를 위한 국어교육의 지향
국어교육연구
2015 .02
‘언어의 소외’와 ‘과학적’ 언어 연구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1920~1930년대 조선어 연구를 중심으로?
개념과 소통
2022 .06
0